팩트체크 서술방식 가이드

1.문서형식

*검증대상 : 검증하고자 하는 대상의 사실 관계에 대한 진술을 명확하게 제시
*검증방법 :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취재방법(문헌 연구, 검색, 전화 인터뷰)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
*검증내용 : 실제 검증하는 내용을 자료와 함께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맥락을 포함한 사실 관계 여부를 구체적으로 서술
*검증결과 : 검증내용에 대한 최종 결론의 형태이며 이를 통해서 사실의 여부를 개념적으로 제시
*사회적 반향 : 검증결과로 인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을 기승전결의 이야기 구조로 전달

2.팩트체크 요소별 작성 방법

1) 검증대상

*발언 내용은 발언자 혹은 보도에서 어떻게 표현했는지 있는 그대로 적시함으로써 사실 기록으로서 객관성 가치를 부여
*완결된 의미를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 괄호를 통해 생략된 단어를 전달함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제고
*발언은 발화자가 한 말이나 글을 그대로 옮겨오기 때문에 복문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요 주장을 통해 개별 명제로 분리

o 발언내용

o 주요 주장

*주요주장은 팩트체크를 위한 최소의 문장 단위이고 일종의 명제로서 그 내용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단문으로 구성
*발언 내용에서 의미가 2개 이상으로 구분되는 경우 이를 분리해야 함
*팩트체커는 우선적으로 해당 명제가 사실 명제인지 가치 명제인지 정책 명제인지를 구분해야 함

*사실 명제의 경우 진실과 거짓을 쉽게 판별할 수 있지만 정책(당위) 명제의 경우, 당위에 대한 효율성에 대한 판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완전한 거짓이나 완전한 진실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음

*특히 가치 명제의 경우 발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드러나는 명제로 팩트체크의 대상이 되기 어려운데 주관적 판단의 언어를 최대한 객관적 표현으로 재해석해야 함

2) 검증방법
o 취재방법

*자료를 수집한 방법 (문헌조사, 전화 취재, 방문 인터뷰 등)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
*사회과학적 분석 통계 처리 등에 대한 학술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방법론 기술

o 참고문헌

*사실관계 확인을 위해서 참고한 자료들의 목록을 모두 정리
*언론 보도의 경우에도 보도 일자와 매체 등을 명확하게 정리

3) 검증내용

*검증 과정을 서술하고 분리된 주요 명제가 어떤 측면에서 진실 혹은 거짓인지 주요 근거를 제시
*취재나 자료 수집에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그 한계를 명확하게 제시
*검증 내용을 작성하는 형식은 주제에 따라 자유롭게 정리하되, 근거로 제시한 그래프 및 백업 자료의 출처를 명확하게 제시

4) 검증결과

*맥락성에 중심을 둔 결과 표시: 사실, 대체로 사실, 절반의 진실 ,대체로 거짓, 거짓, 판단유보 등
*거짓 요소 비율로 검증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음 : 거짓 비율 0%, 25%, 50%, 75%,100%로 구분하여 별점 방식을 부여하거나, 피노키오 테스트(워싱턴 포스
트) 형식으로 시각화

5) 사회적 반향(아카이브에 추가)

o 기(起; introduction)

*발언 내용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서술로 언제 어떤 미디어를 통해 무엇이라 이야기했는지를 적시
*대체로 사회적 이슈를 만들어내는 초기 발언의 맥락을 정리
*해당 발언이 다른 사건이나 이슈로 인해 파생된 것이라면 검증 대상 발언을 ‘승’에 작성하고 ‘기’에는 발언 내용의 원인이 되었던 이슈를 정리

o 승 (承; development)

*발언 내용에 대한 파급 효과를 서술하는 부분으로, 동조하거나 반대하는 입장을 정리
*’기’ 에서 발언이 파생된 맥락을 적시했다면, ‘승’ 에서는 ‘기’ 에서 언급한 것처럼 발언이 발생한 상황에 대해 서술

o 전( 轉 ; turn)

*명제가 거짓일 경우 거짓을 증명하는 절차와 내용을 ‘전’ 에 서술하는데 이는 거짓말이 반전을 보였기 때문
*명제가 참일 경우 참임을 증명하는 절차와 내용을 서술

o 결 (結; conclusion)

*발언이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해 서술하는 부분. 진실 혹은 거짓이 우리 사회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종합 평가.
*거짓으로 드러난 경우 발언을 한 당사자가 어떠한 조치를 취했는지도 언급
*발언 내용이 앞으로 우리 사회에 끼치게 될 영향도 예측해 서술.